알고리즘 문제/백준
(백준 알고리즘 문제풀이) 1465번 스티커
재코딩
2022. 7. 6. 16:51
반응형
문제
문제 접근
- 스티커 2n개 구매 -> 2행 N열로 배치
- 스티커 1장을 떼면 그 스티커와 변을 공유하는 스티커는 모두 찢어져서 사용불가 (상하좌우 스티커 사용 불가)
- 모든 스티커가 붙일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때, 각 스티커의 점수 최대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
- 모든 스티커가 찢어지기 위해서는 좌표 (0, 0)에서는 (1, 1) 또는 (2, 1)으로 가야한다.
- 그러므로 y 좌표가 0이라면 (x, 0) -> (x+1, 1) or (x+2, 1)
- 그리고 y 좌표가 1이라면 (x, 1) -> (x+1, 0) or (x+2, 0)으로 이동해야한다.
코드
import sys
T = int(sys.stdin.readline())
for _ in range(T):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# sticker 선언 밑 점수 입력
stickers = list()
for _ in range(2):
stickers.append([0] +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)
# print("\n")
# print("original stickers")
# for i in stickers:
# print(i)
if N == 1:
print(max(stickers[0][1], stickers[1][1]))
else:
# dp 초기화
dp = list([0] * (N+1) for _ in range(2))
dp[0][1] = stickers[0][1]
dp[1][1] = stickers[1][1]
for i in range(1, N+1):
# case1: (0, 1)에서 시작할 경우
dp[0][i] = max(dp[1][i - 1], dp[1][i - 2]) + stickers[0][i]
# case2: (0, 0)에서 시작할 경우
dp[1][i] = max(dp[0][i - 1], dp[0][i - 2]) + stickers[1][i]
# print("dp")
# for j in dp:
# print(j)
print(max(dp[0][N], dp[1][N]))
느낀점
이번문제는 조건을 잘 생각해보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제였다. 모든 스티커가 찢어지기 위한 조건을 생각할 경우에는 2가지의 case로 분류하고 그 case에 맞게 알고리즘을 구현하면된다. 하지만 이번 문제에서는 반례를 찾는데에 시간이 오래걸렸다. 내가 틀린 반례는 n이 1일 경우에 각 case에 dp[0][i-2] or dp[1][i-2]가 존재하기 때문에 N이 1일 경우에도 고려를 해야한다는 것이었다. 이를 통해서 내가 구현한 코드에 반례까지 생각해볼 수 있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