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JPA
- 그리디 알고리즘
- 합 구하기
- spring
- deque
- 소수찾기
- 연관관계
- 우선순위큐
- 인프런
- c#
- popleft
- 1일1솔
- BFS
- C#강의
- 브루투포스
- 소수판별
- pypy3
- Java
- LCM
- mvc
- 백준
- 완전탐색
- 파이썬
- appendleft
- 누적합
- 프로그래머스
- DP
- Python
- unity
- python3
- Today
- Total
jae_coding
[Spring JPA] 영속성 관리 (영속성 컨텍스트) 본문
목차
- 영속성 컨텍스트
- 플러시
- 준영속 상태
1. 영속성 컨텍스트 (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 !)
의미: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
예시
EntityManager.persist(entity);
이것은 DB에 저장하는 것이 아닌 Entity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하는 것이다.
영속성 컨텍스트는 논리적인 개념이며, 눈에 보이지않는다. 그리고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다.
위와 같이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영속성 컨텍스트라는 공간에 접근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.
엔티티는 생명주기가 있다?
• 비영속 (new/transient)
영속성 컨텍스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새로운 상태
// 비영속
Member member = new Member();
member.setId(10L);
member.setName("회원1");
• 영속 (managed)
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
//객체를 저장한 상태(영속)
em.persist(member);
• 준영속 (detached)
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었다가 분리된 상태
//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분리 -> 준영속 상태
em.detach(member);
• 삭제 (removed)
삭제된 상태
//객체를 삭제한 상태
em.remove(member);
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 ?
- 1차 캐시
- 동일성 보장
-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쓰기 지연
- 변경 감지 (Dirty Checking)

JPA는 엔티티와 스냅샷을 비교하는 변경감지가 일어난다. 이때 변경되었으면 UPDATE SQL 명령
Member member = em.find(Member.class, 1L)
member.setId(2L)
위 코드와 같이 em.persist를 해주지 않아도 변경감지를 통해서 DB에 저장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 지연 로딩 (Lazy Loading)
2. 플러시
의미: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내역을 DB에 반영하는 것이다. (commit 당시)
플러시 발생
- 변경 감지 (Dirty Checking)
- 수정된 엔티티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등록
- 쓰기 지연 SQL 저장소의 쿼리를 DB에 전송 (CUD 쿼리)
플러시 방법
- em.flush() - 직접호출
- 트랜잭션 커밋 - 자동호출
- JPQL 쿼리 실행 - 자동호출
JPQL쿼리를 실행할때, 플러시가 호출되는 이유?
JPQL은 이전의 CRUD를 해준 경우가 있을 수 있기때문에 문제를 방지해주기위해서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된 DB를 접근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하면된다.
플러시 모드 옵션
- Default: FlushModeType.AUTO 👉 커밋이나 쿼리를 실행할 때 플러시
- FlushMode.COMMIT 👉 커밋할 때만 플러시
플러시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우는 것이 아닌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를 시켜주느 것이다.
트랜잭션이라는 작업단위가 중요하다 👉 커밋 직전에만 동기화하면 된다.
3. 준영속 상태 (영속 👉 준영속)
의미: 영속 상태의 엔티티가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분리 (detached)
특징: 영속성 컨텍스트가 제공하는 기능 (ex, em.find()) 을 사용하지 못함
준영속 상태로 만드는 방법
- em.detach(entity) 👉특정 엔티티만 준영속 상태로 전환
- em.clear() 👉영속성 컨텍스트를 완전히 초기화
- em.close() 👉 영속성 컨텍스트를 종료
'Spring, java > Spring_JP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JPA]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 (N:1, 1:N, 1:1, N:M) (0) | 2022.09.10 |
---|---|
[Spring JPA] 연관관계 매핑 (0) | 2022.09.10 |
[Spring JPA] 엔티티 매핑 (0) | 2022.09.08 |
[Spring JPA] Hello 순수JPA (0) | 2022.09.08 |
[Spring JPA] SQL 개발의 단점 및 JPA (0) | 2022.09.08 |